뉴스
1-10 73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다년생 벼
- 전남인터넷신문 2023-01-05
- [전남인터넷신문]아시아의 주요 식량 작물인 벼는 기본적으로 1년생이다. 종자를 뿌려서 싹을 틔우고 재배하여 수확하고, 다시 종자를 뿌려서 재배하는데 최근 중국 운남성(雲南省, 윈난성) 등지에서는 다년생 벼의 재배가 늘어나고 있다. 다년생 벼는 종자를 한번 뿌린 후 3-4년간 계속해서 수확하는 벼의 일종이다. 다년생 벼에 관한 연구 결과는 최근 중국 남방지역인 운남대학 연구팀이 지난해 11월에 국제학술 월간지 'Nature Sustainability'(자연의 지속가능성)에 발표한 논문인 '다년초화한 벼의 지속 가능한 생산량과 생산잠재 ...
-
-
- 다년 수확 벼와 다년생 벼
- 전남인터넷신문 2024-12-12
- [전남인터넷신문]벼는 보통 논에 물을 넣고 모내기를 하여 기른다. 분열이 증가되면 논에서 물을 빼고 논바닥에 균열이 생길 때까지 건조시킨다(중간 건조). 그리고 다시 물 대기와 건조를 반복하고 이삭이 나온 후에는 마른 논 상태에서 벼를 수확한다. 벼를 예취한 후에는 따뜻한 지방의 경우 예취한 벼의 밑둥에서 싹이 자란 것을 길러 2번째의 수확을 하는 예도 있다. 그런 경우에도 벼는 겨울을 넘기지 않으므로 벼는 일반적으로 벼(씨)로부터 모종을 기르고 수확・채종하는 사이클은 1년 안에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벼는 단년생(단년초)이라는 이 ...
-
-
- 여수시 국동, 다년생 식물로 여수형 작은 정원 가꿔
- 전남인터넷신문 2023-06-26
- [전남인터넷신문/박문선기자] 여수시 국동은 지난 21일 ‘여수형 작은 정원 가꾸기’ 사업의 일환으로 주민센터와 신월로 대로변에 다년생 식물을 식재했다.이날 통장협의회, 주민자치위원회, 새마을지도자협의회, 새마을부녀회, 바르게살기협의회 회원 60여 명은 문그로우 나무 70주와 송엽국 920본을 마이카 화분 57개에 심었다. 정원 조성에 참여한 자생단체 회원은 “일회성으로 끝내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물과 비료를 주며 관리해 ‘꽃 피고 늘 푸른 도심 속 힐링 정원’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김종필 국동장은 “‘여수형 작은 정원 가꾸기 ...
-
-
- 수원시 팔달구, 그린터널에 주홍빛 능소화 식재
- 뉴스포인트 2021-05-14
- 그린터널에 주홍빛 능소화 식재[뉴스포인트 - 1위 문화/예술뉴스 김용호 기자] 수원시 팔달구는 최근 화서동 수성로 120번길 화산지하차도 주변 그린터널 대상지에 다년생 식물인 능소화를 식재했다고 밝혔다. 능소화는 낙엽성 덩굴식물과의 다년생 식물로. 7~8월경 가지 끝에 원추 꽃차례 5~15개를 이루며 귤색의 깔때기 종모양의 꽃을 피운다. 이번에 조성된 그린터널의 규모는 길이 38m, 면적은 240㎡로 좌우측에 능소화 180본을 식재하고, 방초매트와 급수시설을 설치하였다. 지난해에는 일년생 식물인 풍선초, 나팔꽃, 작두콩을 식재하였으 ...
-
-
- 나주시 공산면 순채 채취와 식용문화
- 전남인터넷신문 2025-05-13
- [전남인터넷신문]순채(蓴菜, Brasenia schreberi)는 '순나물', '순(蓴)', '수채(水菜)', '금대(金帶)'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다년생 수생식물이다. 수련과에 속하며, 잎 모양이 어리연꽃과 비슷해 혼동되기 쉽지만, 연꽃은 꽃대 쪽의 잎이 갈라지는 반면 순채는 타원형으로 갈라지지 않는 점이 다르다. 천년이 넘는 늪지대에서 자란다고 알려진 순채는 과거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했으나, 현재는 그 서식지를 찾기조차 어려운 멸종위기종이다. 1997년 동아일보는 “국내 멸종 위기 ‘순채’ 제주 대량 자생 확인”이라는 기 ...
-
-
- 남양주시 퇴계원읍, 쓰레기 무단투기지역에 가로화단 조성
- 경기뉴스탑 2022-04-14
- 쓰레기 무단투기지역 가로화단(사진=남양주시 제공)[경기뉴스탑(남양주)=이윤기 기자]남양주시 퇴계원읍은 지난 13일 도로변 녹지정비사업 일환으로 도제원로 가로화단에 다년생 식물을 식재해 봄맞이 단장에 나섰다. 도제원로 가로화단은 도제원로와 다세대 주택 사이에 위치해 있어 평소에도 생활쓰레기 무단 투기 및 불법 경작으로 민원이 자주 발생했던 곳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퇴계원읍은 지난해 무단방치된 쓰레기를 제거하고 가로화단을 조성했으며 이어서 올해는 장미, 수국, 야생화 등 다년생 식물 200본을 식재했다. 이형진 퇴계원읍장은 “코로나 ...
-
-
- 고흥군, 기본형 공익직불금 5월 말까지 신청하세요!
- 전남인터넷신문 2025-05-09
- [전남인터넷신문/강계주] 고흥군(군수 공영민)이 ‘농업·농촌 공익기능 증진 직접지불제도 운영에 관한 법률’(이하 공익직불법) 개정에 따라, 2025년 기본형 공익직불금 지급 대상 농지도 확대하고 신청 기간도 5월 30일까지로 연장했다.이번 공익직불법 개정에 따라, 기존에는 지급 대상에서 제외됐던 하천구역 내 농지도 하천 점용허가를 받고 친환경 인증을 받은 농산물을 재배하는 경우 공익직불금을 받을 수 있게 됐다. 해당 농지는 등록신청 직전 연도인 10월 1일부터 등록신청 연도 9월 30일까지 1년간 친환경 인증을 유지해야 한다.또한, ...
-
-
- 경기도농업기술원, 다육식물 신품종 ‘트윙클루이’, ‘레드루이’ 개발. 농가 보급 시작
- 경기뉴스탑 2025-04-17
- 레드루이(사진=경기도)[경기뉴스탑(수원)=전순애 기자[경기도농업기술원은 반려식물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다육식물 ‘세덤(Sedum)’의 국산 신품종 ‘트윙클루이’와 ‘레드루이’를 개발하고, 올해부터 농가에 보급한다고 17일 밝혔다. 다육식물은 키우기 쉽고 관상가치가 높아 실내 반려식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세덤은 돌나물과에 속한 다년생 다육식물로, 잎과 줄기의 형태가 다양하며 계절에 따라 색이 변화해 소비자 선호도가 높다. 하지만 현재 국내 재배 농가는 대부분 종묘를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어 국산 품종 개발이 절실한 상황 ...
-
-
- 고흥군, 벼 대체 전략 작물 선정 농가 소득 다변화 추진
- 전남인터넷신문 2025-04-23
- [전남인터넷신문/강계주] 고흥군(군수 공영민)이 지난 22일 축산농가와 조사료 경영체 50명을 대상으로 벼 재배면적 조정제에 대한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벼 재배면적 조정제는 지난해 벼를 재배한 농업인(법인)이 올해 벼 재배면적을 감축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제도로, 벼 재배면적을 일정 수준으로 줄여 쌀값 안정과 농가 소득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시행 중이다.고흥군의 올해 감축목표 면적은 1천378ha이며, 감축유형은 농지전용, 친환경 인증, 전략직불, 타작물, 자율감축(휴경) 등으로 분류된다. 조정제는 벼 재배 농가 전체 대상이 ...
-
-
- 광주 빛고을 근린공원서 열린 환경 캠페인 ‘We Go’…환경보호‧자원 재활용 중요성 알려
- 전남인터넷신문 2024-09-30
- [전남인터넷신문/강성금 기자]기후변화로 인해 이어진 9월 늦더위가 겨우 한풀 꺾인 지난 28일, 기후위기 대응 및 생활 속 탄소 중립 실천 방법을 시민들에게 알리기 위해 마련된 ‘지구를 살리는 모두의 캠페인 We Go’가 광주광역시 북구 신용동 빛고을 근린공원에서 열렸다.신천지자원봉사단 광주지부(지부장 유재욱‧이하 광주지부), 지구환경보전중앙연맹, 장애가족햇살장학회, 지체장애인협회 광산지부, 빛고을 지역 자원봉사 캠프 연합이 함께 진행한 이날 캠페인에는 봉사자와 회원, 지역 시민 등 500여 명 참여했다.특히 이날은 ‘자원순환의 날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