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21-230 258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세상을 다채로운 색으로 꾸며나가길 바라며,
- The Psychology Times 2022-10-14
- [The Psychology Times=이소연 ]4년마다 있는 올림픽에는 세계 각국을 대표하는 선수들이 참여합니다. 이 선수들은 각 나라를 대표하는 만큼 재능을 가지고 있고 우리는 상상도 하지 못할 노력을 한 선수들입니다. 이 선수들이 다 모인 올림픽이라는 자리는 실력뿐만 아니라 그날의 컨디션은 물론이고 운도 포함하여 1등, 2등, 3등이라는 서열을 정합니다. 전 세계인의 축제에 그 나라를 대표하는 사람으로 출전한 만큼 모두 다 최선을 다하고 운동을 사랑하는 사람입니다. 서열이 정해져서 1등, 2등, 3등을 하게 된다면 너무 좋지만 ...
-
-
- [한국 심리학회 제 14분과] 한국코칭심리학회
- The Psychology Times 2020-11-10
- 코칭심리학회란2011년에 설립된 학회로서 600명이 넘는 회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코칭이란 달성목표와 실제 문제해결 방안에 관해 피코치가 스스로 선택하고 계획할 수 있도록 코치가 행하는 지원,지지 활동을 의미합니다.20세기 말에 시작되어 급격한 성장을 이루고 있는 분야로서 근본적인 목적으로서 ‘인간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기존의 코칭은 주로 개인의 행동변화에 주목했지만 코칭심리학은 코칭관계의 설정과 개입과정에 심리학 이론을 접목시키고자 합니다.즉 심리학자들은 인간발달과 행동변화를 설명하는 이론들을 기반으로 코칭 과정을 만들고그 ...
-
-
- 난 왜 완벽주의자가 되었나. -완벽주의에 관하여 1부-
- The Psychology Times 2023-10-30
- [The Psychology Times=김정현B ]잘했어! 완벽해!“완벽해!”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는가? 학교나 사회생활 중에 과제나 일을 잘 처리해 가면 저런 반응을 들어본 적 있을 것이다. 완벽하게 무언가를 처리하는 것은 현대 사회에서 추구해야 할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우리는 완벽주의를 추구하는 태도 때문에 비현실적으로 높은 기준을 설정하거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리하기도 하고, 만족하지 못해 절망에 빠지기도 한다. 완벽주의란?지나친 완벽주의는 오래전부터 상담이나 심리 치료 분야에서 치료적 관심을 받아왔다. 오래전부 ...
-
-
- 모든 것을 결정짓는 나의 유전자
- The Psychology Times 2023-04-26
- [The Psychology Times=이자은 ]당신은 우울장애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는가? 우울장애는 흔히 우울증이라는 이름으로 우리 곁에 자리하고 있다. 우울장애를 겪는 사람들은 타인의 의도를 알 수 없음에도 계속 멋대로 추측한다. 또 하루 대부분에 걸쳐 기분이 가라앉고 슬프기만 하다. 이들은 왜 우울해졌을까? 힘든 일을 겪었던 것일까? 다른 사람들도 똑같은 일을 겪었다면 모두가 우울해지는 것일까? 사실은 남들보다 조금 더, 우울해지기 쉬운 사람들이 있다. 그것은 모두 유전자로부터 결정된다. 덜 행복하고 더 예민한 그들우울장애를 ...
-
-
- 너 어떻게 내 기분을 잘 알아?
- The Psychology Times 2023-11-17
- [The Psychology Times=이정연 ]타인의 기분을 잘 알고 행동해, ‘나보다 내 기분을 더 잘 아는 것 같다.’, ‘센스있다.’ 등의 말을 들어봤거나 기분을 잘 모르고 행동해 상대의 기분을 나쁘게 만든 적이 있는가?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관계를 통해 완성되어가는 존재이다. 대인관계가 원만하다면, 사회적 지지를 얻을 수 있고 갈등이 생긴다면, 심리·사회적 부적응과 심리 장애가 발생하기도 한다.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상대방의 표정을 보 ...
-
-
- [한국 심리학회 제 2분과] 한국상담심리학회
- The Psychology Times 2020-09-24
- 심리학은 알면 알수록 친근하고 서로의 불안을 해소하며 정서적인 부분을 따듯하게 보듬는 학문입니다. 우리의 친구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는 한국상담심리학회를 보다 상세히 소개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심리상담심리상담은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문제, 심리적 어려움과 고통을 함께대화로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며 당면한 문제해결과 자기이해를 돕고,앞으로 삶에서 자신이 나아갈 방향을 결정하도록 협력하는 작업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삶에서 만나게 되는 문제해결, 마음의 치유, 심리적 성장을 경험할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상담심리학이란전문적 상담 ...
-
-
- 혼밥, 혼술, 혼쇼, 문제인가요?
- The Psychology Times 2021-04-08
- 1. 개인성 존중의 시대가 왔다!우리가 가까운 사람을 표현할 때 보통 ‘식구(食口)’라고 한다. 이는 같은 '집에서 살며 끼니를 함께 할 정도의 가까운 사람'이라는 의미로서, 진짜 가족은 아니더라도 친밀한 사람들을 지칭할 때 ‘식구’라는 표현을 자주 한다. 즉, 함께 ‘식(食)’을 한다는 것은 이와 같은 심리적인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이런 문화나 관습은 이전의 가부장적 문화나 혹은 집단이나 조직 중심의 문화에서는 당연한 것으로 여겨졌다. 그 때에는 관계라는 것이 중요했으며, 다양한 관계의 방법 중 먹는 것(즉, 食)이 특히 중요하게 ...
-
-
- 나의 방어기제는 무엇일까요?
- The Psychology Times 2023-08-12
- [The Psychology Times=전예은 ]우리의 삶에서 고통이란 불가피하다. 우리는 실생활에서 '고통'이라는 단어를 쓰기보다는 스트레스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스트레스는 삶에서 자신을 불쾌하게 하거나 불편하게 만드는 것을 일컫는다. 스트레스를 처리하는 방식에서 '방어기제'라는 것이 등장한다. 우리는 내적, 외적 갈등을 현실과 어느 정도 조정하며 살아가기 위해 이것을 사용한다. 내적 또는 외적으로 불안, 스트레스, 충돌 등을 처리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다. 방어기제는 감정적인 충돌을 완화하거나 자아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
-
-
- 숙면을 향한 갈망 (1)
- The Psychology Times 2023-03-30
- [The Psychology Times=양진서 ]세계 수면의 날이란? '세계 수면의 날'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가? 지난 3월 17일은 수면을 기념하고 의학,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와 관련된 중요한 사안을 논의하는 세계 수면의 날(World Sleep Day)이었다. 이 행사는 수면 의학을 연구하는 의료원들에 의해 시작됐다. 세계 수면의 날 위원회가 주관하며, 수면 장애에 대한 보다 나은 예방과 관리를 목적으로 매년 춘분 전 금요일에 개최된다. 제1회 세계 수면의 날의 목표는 수면 의학을 연구하는 의료계 구성원들이 모여 수면 ...
-
-
- 집중력 제로, 성인 ADHD인가?
- The Psychology Times 2024-01-16
- [The Psychology Times=김나연 ]ADHD로 불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는 아동기나 청소년기에만 존재하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증상이 호전되는 특징을 보이는 정신적인 문제로 여겨져왔다. 그러나 시간이지나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치유되지 않은채 남아있던 증상이 성인기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ADHD 진단을 받은 아동의 33%에서 66%가 성인 ADHD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성인 ADHD 진단 비율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