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 기간
  • 언론사
    언론사 전체보기
  • 기자명

    기자명

    기자 내 포함 단어

  • 옵션유지
  • 상세검색
    무언가

    기본검색의 결과 범위를 줄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여러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쉼표(,)로 구분해서 입력하세요.

    도움말 초기화

뉴스

131-140 822

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황선미
    남의 것이라 믿었으므로 마음껏 미워하고 사랑했다
    The Psychology Times 2023-06-02
    [The Psychology Times=황선미 ]내 속엔 내가 너무도 많아 당신의 쉴 곳 없네. 내 속엔 헛된 바램들로당신의 편할 곳 없네. <가시나무새 중> 사람 사이의 관계가 애초에 ‘나는 나이고 너는 너라서 우리는 각자 자리에서 쉬다 만나자’고 할 수 있는 것이라면 <가시나무새>의 애절한 가사를 들어도 별 감동이 없을 텐데, 사람은 만나면 서로의 내면에 상대를 초대하고 들어가는 신기한 시도를 한다. 그뿐이 아니다. 자기가 먼저 초대해 놓고 밀어내질 않나, 먼저 거절해놓고는 거절당할까 두려워하질 않나, 자발적으로 끊어내고는 세상 ...
  • 장동우
    우리는 왜 투표를 할까?
    The Psychology Times 2022-03-31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장동우 ] 민주주의의 꽃은 선거라는 말이 있다. 민주주의가 오늘날 가장 안정된 정치체제로 인정받는 것은 아무래도 선거의 영향이 크다. 선거를 통해서 국민은 자신들의 의사를 드러내고 의견을 표출한다. 최고 권력자는 임기 동안 국민들의 요구를 잘 반영해서 좋은 정책들을 내지 못하면, 자신뿐만 아니라 자신의 정당까지 선거에서 심판을 받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정기적이고 공정한 선거는 민주주의를 유지하는 비결이 된다. ‘국민을 위한, 국민에 의한 정치’라는 것이 선거를 통해서 어느 정도 ...
  • 김민정
    ‘너 오늘 파란 티 입었네? 시원해 보인다’ 색채가 주는 심리적 영향
    The Psychology Times 2024-05-09
    [한국심리학신문=김민정 ]우리는 보통 어떤 색을 마주할 경우 종종 자극을 받아 감정적으로 안정되거나 불안해지는 등 특정한 반응이 나타난다. 이러한 색채 경험에 대한 인간의 태도는 동일한 색을 보더라도 빛의 반사, 채도, 형태 등에 따라 다를 수도 있고 자신의 경험이나 환경에 따라 다르게 보여진다. 다만 차이가 있더라도 예컨대 푸른 하늘을 보면 서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것과 같이 일정한 일치성을 갖기도 한다.이처럼 어떤 색채가 우리 심리에 주는 영향은 무엇일까. 색채 심리학이란?색채와 관련된 인간의 반응을 연구하는 심리학을 의미하며, ...
  • 백진민
    알 수 없는 알고리즘이 나를 여기로 이끌었다
    The Psychology Times 2022-02-04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백진민 ]“알 수 없는 알고리즘이 나를 여기로 이끌었다”라는 유튜브 댓글을 본 적이 있는가? 이 말은 시청자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추천해주는 알고리즘이 모종의 이유로 특정 영상을 다수의 시청자에게 추천하는 경우 등장한다. 다시 말해, 일반적으로 알고리즘은 사용자들의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한 인공지능이 개인의 취향에 맞는 영상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데, 가끔 뜬금없는 영상을 추천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에 로그인을 한 채로 접속하면, 메인화면에서부터 개 ...
  • 김예원
    사회적 유행을 대하는 바람직한 태도
    The Psychology Times 2022-12-28
    [The Psychology Times=김예원 ]사회는 많은 사람으로 구성된 집단이다. 사람들은 모두 저마다 다른 취향을 가지고 있지만, 그래도 개중에는 비슷한 취향을 지닌 사람들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특정 무언가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사회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되었을 때, 우리는 그 무언가가 사회적으로 유행하고 있다고 말한다. 유행이란 사전상으로는 특정한 행동 양식이나 사상 따위가 일시적으로 많은 사람의 추종을 받아 널리 퍼지는 것 또는 그러한 사회적 동조 현상이나 경향을 일컫는다. 그런데 많은 사람 ...
  • 조수빈B
    사계절의 시작을 알리는 불청객
    The Psychology Times 2024-03-11
    [The Psychology Times=조수빈B ]사계절의 시작과 새 학기의 출발을 알리는 봄. 이 계절은 우리에게 여러모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하지만 봄만 되면 찾아오는 우울감과 무기력감으로 인하여 무거운 마음으로 겨울을 떠나보내는 사람들이 있다. 따뜻한 날씨 속, 나의 마음에 자리 잡은 우울함은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목표를 향하고, 밝은 미래를 꿈꾸는 것을 힘들게 만들곤 한다. 봄만 되면 찾아오는 우울감, 대체 왜 그런 걸까?봄에 나타나는 계절성 우울증유지영 기자의 “요즘 잠 많고 과식하는 당신, 혹시 ‘계절성 우울증’?”기사 ...
  • 김태림
    당신이 고민이 많은 이유..
    The Psychology Times 2022-07-25
    [The Psychology Times=김태림 ]나는 어떤 일을 하기 전 또는 무언가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면 끊임없이 고민을 한다. 스스로에게 몇 번이고 되묻기를 반복하고, 하나의 질문은 꼬리에 꼬리를 물어 끝날 줄을 모른다. 최근에는 이런 일도 있었다. 하루는 치팅데이라고 탄수화물을 먹을 수 있는 날이었다. ‘떡볶이’와 ‘치킨’중 뭘 먹어야 할지 고민거리가 생겼다. 둘 중 어느 것이 더 내 체중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 또는 뭐가 더 몸에 조금이라도 좋은지 인터넷을 열어 검색을 해보기도 했다. 이렇게 쓸데없는 고민을 하는 사 ...
  • 강도연
    영상 길이만큼 점점 짧아지는 현대인의 집중력
    The Psychology Times 2022-10-13
    [The Psychology Times=강도연]며칠 전 거실에서 TV를 볼 때 있었던 일이다. 한참 재밌게 보던 와중에 갑자기 어디선가 미세한 잡음이 섞여 들려왔다. 소리의 근원을 찾으려 옆을 돌아보니 같이 소파에 앉아있던 동생이 보고 있는 휴대폰에서 나는 소리였다. 딱히 거슬릴 정도는 아니었기 때문에 마저 TV를 보는데, 바로 옆에서 나는 소리가 도무지 무슨 말인지 제대로 알아들을 수가 없었다. 분명 한국어는 맞는데 알아들을 수 없다니!나를 혼란스럽게 만든 영상은 모 유튜버의 영화 리뷰 영상으로 무려 2배속으로 재생되고 있었다. ...
  • 한유민
    “대학 오고 독립해서 자유가 됐는데, 엄마는 자꾸 전화해서 외로우시대요.” – 빈 둥지 증후군
    The Psychology Times 2024-04-26
    [한국심리학신문=한유민 ]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나 여러 명이 집을 떠나면서 발생하는 가정 내 변화는 각 가족 구성원에게 큰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자녀가 성인이 되어 독립함으로써 발생하는 '빈 둥지 증후군(Empty Nest Syndrome)'은 부모에게 심리적, 정서적으로 큰 변화를 초래합니다. 이 기사에서는 빈 둥지 증후군의 정의, 원인, 영향, 및 극복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빈 둥지 증후군, 다 키운 자녀들을 그리워하는 부모님의 한숨 빈 둥지 증후군은 ‘공소증후군(空巢症候群)’ 이라고도 불리며, 자 ...
  • 스테르담
    19화 모든 직장인은 감정 노동자다.
    The Psychology Times 2022-02-03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스테르담 ]"감정 노동자"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한 공적이 뚜렷한 사람에게 수여되는 훈장. 동탑산업훈장.4호선 경마공원역 1번 출구를 통해 30년째 출근하는, 한 경마장 발매직원 분께서 그 상을 받았다는 기사가 내 이목을 끌었다. 그분의 공적은 감정노동자 보호를 위한 제도 마련에 큰 공을 세웠다는 것. '고객은 왕'이란 일방적이고도 위압적인 통념 속에서, 그분이 30년 간 겪은 왕의 폭력은 이루 말할 수 없다고 한다. 그래서 기존 '고객 응대 지침서'에 '발매직원을 위한 보호 조치'도 ...
12 13 14 15 16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