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1,061-1,070 4,455해당 언론사가 채널 주요기사로 직접 선정한 기사입니다. 뉴스검색 가이드
-
- 스포츠를 좋아하시나요?
- The Psychology Times 2024-04-22
- [한국심리학신문=김기훈 ]어느새 따뜻해진 날씨와 활짝 핀 꽃이 봄이 성큼 다가왔음을 알리고 있다. 누구에게나 봄은 한해를 시작하는 설레는 계절이지만 누군가에게는 더욱 특별한 한 해동안의 대장정의 시작을 알리기도 한다. 바로 프로스포츠 팬이다. 특히 한국인을 열광시키는 대표적인 양대 스포츠인 프로야구와 프로축구가 최근 나란히 그 시작을 알렸다. 작년 한해 코로나 이후 처음으로 800만 관중을 기록한 프로야구는 시즌 개막부터 반전을 거듭하며 팬들의 이목을 모으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스포츠에 열광할까?선수에게 도움이 되는 응원의 ...
-
-
- 사탕 한 알이 감기약으로 변하는 이유
- The Psychology Times 2023-07-04
- [The Psychology Times=이하영]사탕 한 알이 약이 된다고? 대부분의 사람이면 어린 시절 한 번쯤, 약한 감기에 걸린 적이 있을 것입니다. 열이 펄펄 나지도, 병원에 갈 정도는 아니지만, 왠지 모르게 꼭 '약 한 알'을 먹어야만 나을 것 같은 그 정도의 감기 말이죠. 이럴 때 누군가가 감기약이라고 말하며 약 한 알을 건네주었다고 가정해봅시다. 건네받은 약을 먹고 5분 정도가 흐르자, 감기가 감쪽같이 나았다는 느낌을 받곤 합니다. 하지만 놀라운 점은, 당신이 건네받은 알약은 감기약도, 두통약도, 몸살약도 아닌, 약 모양 ...
-
-
- 미녀는 스톡홀름 증후군에 빠진 걸까?
- The Psychology Times 2022-03-14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허민영 ]지난기사[한국어교육 속 심리학 알아보기]한국인이 배우는 국어와 외국인이 배우는 한국어의 차이점 feat. 행동주의새내기 때부터 조심하자, 대학생 알코올 중독[한국어교육 속 심리학 알아보기] 한국어 발음의 중요성 feat. 문화적 배타성<참고자료>- 앨범 사진출처https://flic.kr/p/RtcR99- 노은아, 스톡홀름 증후군 vs 리마 증후군,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칼럼 5월,https://amc.seoul.kr/asan/depts/psy/K/bbsDetail.do? ...
-
-
- 18화 왜 자기계발서는 관점을 바꾸라고 할까?
- The Psychology Times 2022-01-26
-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스테르담 ]세상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해석하는지를 먼저 알아야 한다.또 그 소리야?군대 시절.자유 시간에 할 일이 없으니 내무반 끝 쪽에 있던 책장의 책들을 모조리 읽은 적이 있다. 아마도 100권 정도 되는 걸로 기억하는데, 그중의 절반 이상이 자기계발서였다. 그런데, 주제는 달라도 마치 깔때기와 같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저자들의 공통된 메시지는 바로 '관점을 바꾸라'였다. 너무나도 심심했던 시절이었기에 결국 다 읽어내고 말았지만, 입으로는 '또 그 소리야?'를 계속해서 읊조렸 ...
-
-
- 사람들은 나를 생각보다 더 좋아한다고?
- The Psychology Times 2025-01-23
- [한국심리학신문=오현지 ]지난 기사보기호손 연구 - 일터의 생산성에 숨겨진 심리적 비밀지각적 협소화 : 어린 시절 우리는 모두 원숭이 얼굴을 구분할 수 있었다빅파이브 성격검사펫로스 증후군, 이별 후 마음을 치유하는 법다이어트의 덫, 섭식 장애폭력의 피해자에서 가해자로악플의 심리학8초의 시대: 숏폼 콘텐츠가 대세인 이유쥐는 어떻게 인간의 마음을 비추는가?심리학이 알려주는 2025년 새해 결심 성공 비법자신감 vs 자존심, 진짜 차이를 아시나요? ...
-
- 당신이 계속해서 비슷한 사람을 만나고, 또 상처받는 이유
- The Psychology Times 2021-08-13
- [심리학 신문_The Psychology Times=강다희 ]우리는 일상에서 다양한 사람을 만나며 관계를 맺는다. 때로는 다양한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도 비슷한 관계 패턴이 나타나고 반복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매번 비슷한 사람을 만나 연애를 하고 결국 비슷한 상처를 받거나 비슷한 이유로 헤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관계 양상이 유사하게 반복하게 되는 모습을 프로이트는 ‘반복 강박(repetition compulsion)’으로 설명했다. ‘반복 강박(repetition compulsion)’이란?반복 강박은 프로이트의 정신 ...
-
-
- 유행가는 특정 시대적 상황 반영…동서고금 막론 소재 1위는 '사랑'
- The Psychology Times 2021-01-28
- '대중(大衆)이 즐겨 부르는 노래'를 대중가요하고 한다. 유행가는 특정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는 대중음악이다. 시대적 상황이 바뀌면 유행가도 바뀐다. 하지만 대중가요에서 제일 많이 다루는 소재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사랑'이다. 그래서 혹자는 유행가를 '사랑타령'이라고 폄하하기도 한다. 노래방에서 제일 많이 불리는 대중가요의 3대 소재는 '사랑' '이별' '눈물'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 세 가지는 결국 직간접적으로 '사랑'과 관련이 있다.이연수 님이 2001년부터 2015년까지 매년 100곡씩 총 1500곡을 선정하여, 주제별로 분 ...
-
-
- 진짜 내 성격 VS 원하는 내 성격
- The Psychology Times 2024-04-18
- [The Psychology Times=노주선 ]선배, 저 ESFP 나왔어요~ 선배 글도 봤어요~ 제가 그렇게 따뜻하고 열정적인 사람인 거죠?헐.. 누가 그래?? 네가 감정형 이래?? 진짜 허얼~이다..엥? 저 감정형이에요! 제가 얼마나 따뜻한 사람인데요~그래.. 네가 감정적인 것 맞지! 그리고 따뜻한 사람이 되고 싶어 하는 것도 맞지!근데.. 너는 기본적으로 생각에서 감정이 나오는 사람이야!! 그래서 너 잡생각 할 때 별 잡스러운 감정과 성질 다 부리잖아! 내가 10년 넘게 너를 보아온 결론은 너는 전형적인 사고형이에요~제가요? ...
-
-
- 장미꽃을 닮은 당신에게
- The Psychology Times 2021-09-30
- [심리학 신문_The Psychology Times=우지연 ] “잘 지내.” 그러자 꽃은 기침을 했다. 하지만 감기 때문이 아니었다. 이윽고 꽃이 입을 열었다. “미안해. 내가 어리석었어. 날 용서해. 그리고 행복해야 해.” 웬일인지 꽃이 투덜거리는 말을 하지 않는 것이 너무 놀라워서 어린 왕자는 유리 덮개를 손에 든 채 멍하니 서 있었다. 갑자기 조용하고 부드러워진 꽃의 태도를 이해할 수 없었다. -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Le Petit Prince)』 중 - 『어린왕자』 속 장미꽃은 처음 어린 왕자를 마주했을 때, 마치 그를 ...
-
-
- 카그라스 망상: 낯선 사람으로서 친숙한 얼굴의 마음의 교란
- The Psychology Times 2024-06-17
- [한국심리학신문=채진우 ]최근 심리학과 정신의학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현상은 카그라스 망상(Capgras Delusion)이다. 이 정신 장애는 자신이 잘 아는 사람(보통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이 동일한 사기꾼으로 대체됐다고 믿게 한다. 카그라스 망상의 특징카그라스 망상(Capgras Delusion)은 프랑스 정신과 의사인 조셉 카그라스(Joseph Capgras)의 이름을 딴 드물지만 흥미로운 심리 장애이다. Capgras는 1923년에 이 상태를 처음으로 인식했다. 카그라스 망상 환자는 시각적 인식과 정서적 애착 사이의 심각 ...
-
뉴스 기사와 댓글로 인한 문제 발생시 24시간 센터로 접수해주세요.
센터 바로가기